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설 차례상 차림 방법과 차례 지내는 순서

Info

by 로블리스 2025. 1. 28. 17:09

본문

728x90
반응형

 

 

 

 

 

설 차례상 차림과 차례를 지내는 순서는 가족과 조상님에 대한 존경과 정성을 담은 한국의 전통 문화입니다. 아래에 차례상 차림 방법 차례 절차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

1. 설 차례상 차림 방법

(1) 상 배치 기본 원칙

  • 방향: 조상님 신위(神位)를 모시는 쪽(북쪽)을 상위로 두고, 제사상을 남향(北) 또는 동향(東)으로 놓습니다.
  • 열(列) 구분: 일반적으로 5열로 구성하며, "어동육서(魚東肉西)", "좌포우혜(左脯右醯)", "홍동백서(紅東白西)" 등 전통 규칙을 따릅니다.

(2) 음식 배치 (5열 기준)

열위치음식세부 규칙

1열 가장 앞쪽 술잔, 메(밥), 갱(국), 떡국 - 밥(메)은 왼쪽, 국(갱)은 오른쪽.
- 술잔은 밥과 국 앞에 놓습니다.
2열 1열 뒤 생선, 육류, 전(부침개) - 생선은 머리가 동쪽을 향하도록.
- 육류(소고기)는 서쪽에 놓습니다.
3열 중앙 탕(국), 나물, 김치 - 탕은 중앙에, 나물과 김치는 좌우로 배치합니다.
4열 3열 뒤 조림, 젓갈, 장아찌 - 짜지 않은 간장 등 부재료를 함께 올립니다.
5열 가장 뒤쪽 과일, 한과, 약과 - 홍동백서: 붉은 과일(사과, 대추)은 동쪽, 흰 과일(배, 밤)은 서쪽.
- 과일은 홀수로 올립니다.

(3) 주의사항

  • 홀수 원칙: 과일, 전, 나물 등은 홀수로 올립니다.
  • 날음식 금지: 생선은 구워 익혀서 올리며, 날것은 사용하지 않습니다.
  • 특정 음식 금기: 고춧가루, 마늘, 칼 등은 상에 올리지 않습니다.

2. 차례 지내는 순서

차례는 진설(상 차림) → 강신(영혼 모심) → 참신(절) → 헌다(술 올림) → 유식(음식 나눔) 순으로 진행됩니다.

(1) 진설 (상 차림)

  • 새벽에 차례상을 차리고, 가족이 정갈한 옷차림으로 모입니다.
  • 제상 앞 향로와 촛대를 준비합니다.

(2) 강신 (降神)

  • 분향(焚香): 집주인이 향을 피워 조상님의 영혼을 모십니다.
  • 강신잔: 첫 잔의 술을 떡국 그릇 옆에 조금씩 세 번 나눠 붓습니다.

(3) 참신 (參神)

  • 절 올리기: 가족 모두 두 번 절을 합니다(남성은 깍지 낀 손으로, 여성은 오른손 위에 왼손).

(4) 헌다 (獻茶) & 헌작 (獻酌)

  • 초헌(初獻): 주제자(가장 어른)가 첫 잔을 올립니다.
  • 아헌(亞獻): 두 번째 잔을 올립니다.
  • 종헌(終獻): 세 번째 잔을 올리며, 술을 모두 올린 후 수저를 밥에 꽂습니다.

(5) 유식 (飮食)

  • 식헌(食獻): 조상님께 음식을 드린 후, 가족이 차례상을 돌아가며 음식을 조금씩 덜어 먹습니다.
  • 철상(撤床): 차례상의 음식을 치우고, 제사 음식은 가족이 나눠 먹습니다.

(6) 폐식 (閉式)

  • 소지(燒紙): 지방(종이에 쓴 조상 이름)을 태워 보냅니다.
  • 인사: 가족끼리 새해 인사를 나눕니다.

3. 지역별 차이

  • 서울/경기: 5열 상차림이 일반적입니다.
  • 강원/충청: 3열로 간소하게 차리기도 합니다.
  • 제주: 지역 특산물(전복, 갈치)을 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

핵심 정리

  • 차례상: 음식 배치와 홀수 원칙을 준수하며 정성껏 차립니다.
  • 차례 절차: 조상님께 감사와 존경을 담아 엄숙하게 진행합니다.
  • 중요한 것은 정성이므로, 가풍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해도 됩니다.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